기타

아시아 신재생에너지 시장 : 헤지

그때 그때 2017. 12. 21. 18:16
반응형

지난 11월말 블룸버그는 중국의 내몽골 지역 태양광 전력 가격이 지난해에 비해 44%나 떨어졌고 인도에서는 10월 풍력발전의 가격이 역대 최저로 떨어졌으며 일본에서는 11월말 태양광 산업에 대한 지원을 28%나 낮췄다고 보도했었음. 이들 모두 정부가 지불할 금액을 입찰 시스템을 통해 결정한 것의 결과였다고 함. 그간 각국 정부들은 더 깨끗한 에너지의 공급 증대라는 명분으로 신재생에너지에 대해 보조금을 지급해 왔었음. 솔라 패널과 윈드 터빈 가격의 하락과 정부들의 보조금 지급 정책은 관련 디벨로퍼들에게 붐과 같은 역할을 해 주었는데 반해 정부들이 최저입찰제를 시행하면서 디벨로퍼들의 마진을 압박하고 있다는 것임.


아시아 퍼시픽 지역은 2012년 이후 태양광과 풍력 발전설비 용량을 3배로 늘려 가장 많이 투자한 지역으로 손꼽히는데 중국에서는 현재의 전력망이 수용할 수 있는 클린에너지 보다 더 많은 양이 생산되고 있다고 함. 정부가 주는 인센티브가 디벨로퍼들에게 비효율적일 수 있는 규모로 건설을 하도록 만들었고 정부는 이에 보조금을 유지해야 하는지를 다시 생각해보게 되었다는 것. 앞으로 에너지 저장 기술 진보 등이 따라 주어야 신재생에너지의 설치 둔화가 완화될 것이라 보고 있다고 함.


인도에서는 2017년 풍력 프로젝트를 경쟁입찰로 전환했고 1킬로와트 당 2.64루피(4 미국센트)인 가격 책정이 이뤄지면서 세계 최저 가격의 입찰을 받아냈다고 하며 1기가 와트 용량의 설비를 건설하는데 2월의 첫번째 프로젝트 계약보다 24%나 낮은 가격으로 입찰을 받아냈다고 함. 지난 5월 인도의 태양광 입찰도 세계 최저 가격으로 결정되었다고 함.



이들 계약이 25년 장기 공급 계약이라는 점은 관심을 둘 만한 사항인데 모듈가격이 하락할 것이라는 가정을 가진 계약일 것임. 


여기서 정책결정에 관심을 갖는 이들은 최소수익보전 방식을 사용하던 한국의 정책이 그리 좋은 결정이 아니었다고 말할 수도 있어 보이는데 4대강 사업에서는 최소가격입찰을 사용했지만 담합이 있었다고 보도를 본 기억이 있음. 도구는 누가 쓰느냐가 더 중요해 보이는 대목. 그러나 이 블로그에서 이를 보고자 하는 것은 아닌데 앞의 글들에도 자주 언급되었던 헤지를 조금이나마 설명하고 넘어가고자 하는 것. 인도에 투자한 디벨로퍼들이 누구인지는 언급이 없었지만 중국 기업들의 냄새가 나는데 패널과 터빈의 기술이 더 발달해 가격이 하락할 것이라는 예상뿐만 아니라 인도의 화폐 루피에 대해서도 강세를 예상해야 하는 입장에 놓여 있다는 것을 볼 수 있음.


일반적으로 헤지라는 단어를 검색해 보면 '위험회피'라고 되어 있는데 그리 정확한 표현은 아닌 것 같아 보임.(왜 이렇게 국어로 표현되었는지는 모르겠지만 아마 일본이 그렇게 쓰기 때문이 아닐까 추측만 할 뿐. 법과 금융은 일본에서 만든 배경이 무엇인지도 모르고 가져다 쓰는 것이기에...) 예전에 한 대학 교수가 '위험회피'보다는 '위험전가'라고 하는 표현이 맞다고 주장했는데 이에 동의하며 더 정확하게 표현하자면 '특정 위험전가'가 맞다고 생각됨. 시장에서는 다양한 리스크가 있는데 하나의 헤지를 통해 다양한 리스크 중 하나만을 다른 이에게 전가시킬 수 있기 때문.


예를 들어 한 조선사가 1달러에 1000원인 환율에서 1억달러(1000억원)의 선박 수주를 받았고 여기에는 마진 10%가 포함된 계산이 들어 있다고 하자. 선박이 계약과 동시에 뚝닥하고 생산되는 것이 아니기에 조선업은 선수금으로 일부의 돈을 받고 완성된 선박인도 시에 나머지 계약금 전부를 돌려 받는 산업임을 고려해야 하지만 선수금은 받지 않고 인도와 함께 계약된 금액을 받기로 했다고 하자. 선박인도시 환율이 1달러에 900원으로 떨어지면 해당 조선사는 900억원을 손에 쥐게 되고 마진은 없어지게 됨. 1달러에 900원 이하로 원화가 절상되는 경우는? 이는 조선사가 손실을 입게된다는 것을 말해주고 있음. 따라서 조선사는 원화의 강세가 위험이고 이를 헤지하고 싶어질 것임. 이는 보통 선도(Forward)로 하게 되는데 미래 선박 인도시점의 환율을 1달러에 1000원으로 고정시켜 버리는 것임. 이제 원화 강세에 따른 위험은 상대 계약자가 지게되는 것. 하나의 위험을 헤지한 것이지 모든 조선사가 가진 위험을 헤지한 것도 아니고 환변동 모두에 대해 헤지한 것도 아님.


환선도는 미래에 1달러당 1000원의 환율로 달러를 팔 것이라는 것과 원을 받을 것이라는 계약을 해 두는 것인데 이는 자동적으로 달러에 대해 '숏(매도)포지션'을 잡는 것과 원화에 대해 '롱(매수)포지션'을 동시에 갖는 것이 됨. 따라서 롱 포지션인 원화의 강세에 면역된 것임. 그러나 모든 위험이 없어진 것은 아닌데 계약자가 계약을 불이행하고 잠적해 버리는 것도 위험이지만 이는 예외이고 만약 예상과 정반대로 원화의 약세가 실현되면?


2008년 실제 있었던 일인데 한국의 대형 조선사들이 난감한 상태에 빠진 것. 달러에 대해 숏포지션을 잡고 있었던 조선사들은 달러의 강세가 나오자 이 포지션의 장부상 평가금액이 급등했던 것이 문제였음. 그러나 이를 메울 달러 수입은 아직 배가 완성되지 않았기에 장부상 인식할 수 없었던 문제가 있었음. 


2008년 이전 아래 발틱건화물지수 챠트에서 볼 수 있듯이 선박에 대한 수요가 급증해 있었고 조선사들이 수주한 물량은 엄청나게 증가하고 있었음.



이런 수주 물량에 대해 원화강세에 대비해 하나하나 헤지하는 것도 일이었을 듯 싶은데 결과는 참담하게도 달러 강세였고 해당 조선사들은 장부상 자본잠식에 들어간 것. 이는 상장폐지 사유에 해당하지만 경제대통령이라고 주장하며 권력을 잡았던 이들이 외환시장에 빈번이 개입했던 잘못을 들추고 싶지 않아서 인지 아니면 경제적 파장을 고려해서인지 모르겠지만 덮고 넘어간 것. 회계규정의 오류로 보기에는 힘든데 실제 매출이 달성되지 않았는데 매출로 잡게되면 사기가 판을 치게되고 파생상품을 현재가치로 평가하지 않으면 일부 기업들은 손실난 파생상품을 창고 한구석에 처박아 두고 전혀 손실이 없는 것처럼 장부를 꾸밀 수 있게 되기 때문.


최근 UAE와 관련해서 어떤 인물이 그곳에 왜 다녀왔는지 말이 많은데 개인적으로 원전을 지어주는 것과 관련해 더 관심이 가는 것은 그것이 수익을 내고 있는가임. 한번 원화환율을 보면 계약 당시가 2010년 즈음으로 보이는데 당시 환율에 대해 헤지하지 않았다면 이미 10% 이상 강세를 보인 원화가 수익성을 악화시켰을 가능성이 농후해 보이기 때문. 청와대는 왜 그곳에 갔다왔는지를 이미 밝혔다고 하는데 그것을 밝히든 말든 관심은 없고 분기마다 해당 원전사업만의 재무제표를 공개하는 것이 더 좋을 듯 보임. 자칫하면 아랍에미레이트연합 사람들이 아니라 전기료와 세금으로 아무 관련 없는 사람들한테 비용을 물게 할 수 있어 보이기도 하고 한국에 새로 지어지는 원전에 들어가는 부품이 출처도 모르는 것들이 들어갈지도 모르기에... 물론 해당 업체들을 신뢰하지 않는 것은 아닌데 확실히 할것은 확실히 하고 가야 하지 않나 싶음.

반응형